본문 바로가기
DevOps/AWS, NCP

[네이버 클라우드] SpringBoot + MySQL 서버 생성, 배포하기

by 방배킹 2023. 12. 1.

저번에 네이버클라우드에 우분투 서버를 생성했다.

https://bangbaeking.tistory.com/82

 

[네이버 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로 리눅스 서버 열기

네이버클라우드에 회원가입을 하고 결제수단을 등록하면 현재 10만원 이용권을 준다. 결제수단을 등록한뒤 우측 상단의 console을 눌러 시작하자. 좌측에서 Platform을 VPC로 설정해주고 Services > Compu

bangbaeking.tistory.com

 

해당 서버에 java17 버전을 다운 받고 배포를 해보자.

 

Java 17 설치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openjdk-17-jdk 

 

apt를 업데이트하고 openjdk 17 버전을 다운로드 한다.

 

java -version을 통해 다운로드가 잘 되었는지 확인하자

 

설치 완료

apt install default-jre

기본적인 Java Runtime Environment (JRE)만 설치된다.단순히 Java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상관이 없다.

 

sudo apt install openjdk-17-jdk 

: OpenJDK 17의 Java Development Kit (JDK)를 설치 한다. Java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JRE를 포함하며, Java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사용되는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 

 

FileZilla 설치

파일질라란?

FTP 프로그램이다.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 전송 프로그램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를 받자 (22번 포트 사용)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type=client 

MySQL 서버 생성

https://www.youtube.com/watch?v=3sybjS7Z3S0&t=182s

 

네이버 클라우드로 mysql 서버를 생성한다.

 

ACG 설정을 해준다

 

ACG란 IP주소/포트 기반 필터링 기능으로 AWS로 치면 보안그룹 설정이다.

0.0.0.0/0으로 설정해서 모든 IP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자.

 

db user 관리를 통해 user와 password를 만들고

이때 서버를 생성한뒤 public 도메인을 만든뒤 이용해서 test connection을 진행하자

user 관리
public 도메인

 

test connection

test connection 성공

 

jar 파일 만들기

 

인텔리제이에서는 우측의 gradle에서 bootjar를 통해 jar 파일을 만들수 있다.

jar 파일이 생성되었다.

 

cmd로 jar 파일 만들기

>> gradlew.bat clean 를 통해 기존 jar파일을 제거하자

 

gradlew.bat 파일을 확인해보자


>> gradlew.bat build 를 통해 jar 파일 생성

 

생성된 jar 파일은

>> java -jar [jar파일명].jar 를 통해 실행시킬수 있다.

FileZilla 로 jar 파일 전송하기

FileZila를 통해 jar 파일을 전송하자.

 

 

8080 포트 ACG 설정

서버의 8080 포트의 ACG를 mysql처럼  0.0.0.0/0으로 설정 해서 모든 IP에 대한 접근을 허용해주자

jar 파일 실행

>> java -jar [jar파일명].jar 명령어를 통해 jar 파일을 실행하자

 

 

잘 작동한다.

 

접속도 잘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