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에 회원가입을 하고 결제수단을 등록하면 현재 10만원 이용권을 준다.
결제수단을 등록한뒤 우측 상단의 console을 눌러 시작하자.
좌측에서 Platform을 VPC로 설정해주고 Services > Compute > Server에 들어간다.
그리고 서버 생성을 눌러준다.
신규 콘솔 화면을 누르고 서버생성을 시작하자.
우분투 XEN을 선택하자
XEN과 KVM의 차이점??
VPC와 Subnet을 생성하자.
VPC와 Subnet이란
서버스팩을 Standard, 공인 IP는 새로운 공인 IP 할당을 선택해준다.
인증키를 만들어주자 해당 인증키는 추후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필요할때 사용한다.
id는 root, pw는 서버관리 및 설정변경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에서 아까 만든 인증키인 ncppair.pcm를 통해서 pw를 알수 있다.
이후 cmd창에서 ssh root@ip주소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도 입력해서 접속을하자.
접속완료!
서버에 노드를 다운받아보자 서버의 OS가 리눅스 이므로 리눅스용 노드의 다운로드 링크를 복사해서 wget 명령어를 통해 다운 받아주자.
다운로드를 받고 리눅스 vi 편집기를 이용해서 아래와 같이 변경해준다.
이후 재접속을 한뒤 node --version을 통해 노드 버전을 확인해보자.
'DevOps > AWS, N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 RDS 시작하기 (0) | 2024.10.24 |
---|---|
[네이버 클라우드] SpringBoot + MySQL 서버 생성, 배포하기 (0) | 2023.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