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ler
안에 @Component가 있어서 자동으로 빈에 등록된다.
@Controller는 반환값이 String이면 뷰 이름으로 인식하고 해당 뷰를 렌더링 해준다.
@RestController
@RestController는 @Controller에 @ResponseBody가 추가된 것이다.
@Controller는 반환값이 String이면 뷰 이름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뷰를 찾고 뷰가 렌더링된다. 하지만 @RestController는 반환값으로 뷰가 아니라 HTTP 메시지 바디에 바로 입력한다.
이때 상태코드를 설정하기 까다로워서 @ResponseStatus(HttpStatus.OK)를 사용한다.
'Java , Spring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필터(Filter)와 인터셉터(Interceptor) (0) | 2023.09.12 |
---|---|
[Spring] @PathVariable, @RequestParam, @ModelAttribute, @RequestBody (0) | 2023.08.21 |
스프링 MVC 1 - 서블릿 servlet (2) (0) | 2023.07.02 |
초보 웹 개발자를 위한 스프링 5 프로그래밍 입문 - 5장 컴포넌트 스캔, 6장 빈 라이프사이클과 범위 (0) | 2023.05.19 |
초보 웹 개발자를 위한 스프링 5 프로그래밍 입문 - 4장 의존 자동 주입 (0) | 2023.05.19 |
댓글